본문 바로가기
2032년 개최를 원했던 서울-평양 올림픽 무산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2021년 11일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온라인 집행위원회에서 2032년 호주 브리즈번에서 올림픽을 개최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발표했다. 이어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브리즈번 시민의 올림픽 개최에 대한 열망과 의지를 높이 샀고 브리즈번의 지속가능성을 고루 갖추었다고 평가했다. 2032년 브리즈번 개최 유력 IOC는 7월 21일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총회에서 2032년 여름 올림픽 개최 최종 승인안을 상정할 예정이고 이것이 통과가 될 경우, 호주는 멜버른(1956)과 시드니(2000)에 이어 세 번째 여름 올림픽을 유치하게 된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 워원장이 2018년 평양 남북정상 회담 당시 2032년 올림픽 공동 유치에 합의한 이후, 2019년 2월에 올림.. 2021. 6. 11.
'아시아의 물개' 고(故) 조오련 전 수영선수, 국립현충원 안장 대한민국의 스포츠 영웅으로, 아시아의 물개라는 별명을 가졌던 고(故) 조오련 선수가 2021년 6월 12일 오후 2시경에 국립 대전 현충원 국가 사회 공헌자 묘역에 안장될 예정이다. 조오련 1952년 ~ 2009년, 수영선수 경력 1970년 방콕 아시아경기대회 자유형 2관왕(400m, 1500m) 1974년 테헤란 아시아경기대회 자유형 2관왕(아시아경기대회 2회 연속 2관왕 달성) 1978년 은퇴(50여개의 한국 수영 신기록 달성) 1980년 대한해협 최초 횡단 성공(13시간 16분) 1982년 영국 도버해협 횡단 성공(9시간 35분) 2005년 울릉도-독도 횡단 2008년 독도 33회 회영 수상이력 1970년 국민훈장 목련장 1974년 체육훈장 거상장 1980년 체육훈장 청룡장 2020년 대한 체육회가.. 2021. 6. 10.
침묵의 암, 췌장암 초기 증상 고 유상철 씨의 목숨을 앗아간 췌장암. 조기에 발견이 어려운 '침묵의 암살자'라는 췌장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중앙일보 기사에 따르면 20년째 생존율이 겨우 1.9%이며 한국의 10대 암 가운데 꼴찌라고 한다. 그래서 이 무서운 병은 어떻게 생겨나며 어떻게 조기 진단이 가능한지 어떻게 예방을 해야 하는지 궁금해졌다. 췌장암은 주로 65세 이상의 연령대에서 빈번하게 찾아볼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40대에 발병하여 50대에 숨을 거둔 고 유상철 씨는 아주 드문 케이스라고 한다. 다른 암은 발생률이 줄어들고 생존율이 오르는 추세인 반면 췌장암만은 발생과 사망 빈도가 동시에 늘고 있으며 특별한 증상이 없어서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적절한 치료약도 없다고 알려진다. 발생 비율은 여성보다 남성이 높.. 2021. 6. 10.
화성에 수박밭 발견? 지난 2021년 6월 8일 현지시간 오후 2시경에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NYT)는 온라인판에서 "화성에서 수박밭이 발견되었다"라는 잘못된 기사를 게재했다가 내리는 소동이 있었다. 그 기사의 제목은 정확히 '화성에서 수박밭이 발견됐다고 경찰이 밝혀'였고 기사 게재 후 1시간 여만에 삭제했다고 뉴욕포스트가 보도했다. 당시 올려졌던 기사의 내용은 이러하다. "우주산 수박의 과잉 공급으로 인해 외계 과일이 늘고 있다... 연방수사국(FBI)은 수박이 비 오듯 쏟아진다는 보도에 대해 일체 응답이 없었다... 우주산 수박을 먹어본 경찰은 그 맛이 일품이었다고 밝혔다."라고 쓰여있었다고 한다. 이어 뉴욕 타임스는 수박 기사가 있던 곳에 "오류로 게재된 기사였다"라는 문구와 함께 시스템 점검을 위해 작성한 잘못된 기.. 2021. 6. 10.
한예슬 씨가 교제 인정한 원진 부회장은 누구 최근 한예슬 씨가 김용호 연예부장의 유튜브에서의 폭로 영상으로 인해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서로 영상과 SNS로 해명 혹은 설전 등이 이어지고 있다. 그 가운데 한예슬 씨가 자신의 채널 '한예슬 is'에 '다 얘기 해드릴게요'라는 제목으로 올린 영상에서 한 인물이 언급되는데 바로 디와이 홀딩스 부회장 '원진'이라는 인물. 원진 부회장과의 과거 교제설 인정 오래간만에 이름이 거론되게 해서 미안하다는 멘트와 함께 원진부회장과의 과거 교제설을 인정했다. 교제시기는 드라마 '스파이 명월' 촬영 당시로 2011년 7월에서 9월경이다. 이때 원진 부회장으로부터 페라리 차량을 선물 받았다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들은 한예슬씨가 루머를 해명하던 중에 나온 내용이다. 드라마 촬영중에 원진 부회장이 다른 여자.. 2021. 6. 10.
광주 건물 붕괴 참사 2021년 6월 8일 오후 4시 22분쯤 광주 동구 학동에서 건물이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철거가 진행 중이던 5층짜리 상가 건물이 갑자기 와르르 무너지면서 건물 앞에 정차해 있던 시내버스 1대와 승용차 2대가 잔해에 매몰되었다. 이는 상가 건물에 대한 해체 작업 첫날에 발생한 일이다. 일각에서는 건물에 대한 구조 안전 분석이 선행되었는지에 대해 의혹을 제기하며 인재라는 분석이 조심스럽게 올라오고 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가용한 모든 장비와 인력을 동원해 신속하게 매몰자를 구조하고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모든 조치를 강구하라"라고 긴급 지시를 내렸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사고 현장에 기술안전 정책관과 익산 지방 국토 관리청장 등을 급파해 현장 수습을 지원했다. 그러나 이 사고로 17명이 매몰되었.. 2021. 6. 10.
2021 서울 도시 건축 비엔날레 2021년 6월 8일, 서울 중구 세종로 서울 도시건축 전시관에서 프랑스 건축가 도미니크 페로 Dominique Perrault (1953 ~)가 총감독을 맡은 2021년 제3차 서울 도시 건축 비엔날레가 100일을 앞두고 행사를 개최했다. 이 행사에서 필립 르포르 Philippe Lefort 주한 프랑스대사와 오세훈 서울 시장은 서울과 프랑스 간의 건축 분야 문화 협력 강화를 위한 교류 협력 의향서를 체결하였다. 이외에도 국지수 주한 스위스 대사관 문화실장, 로베르토 리쪼 이탈리아 공관 차석, 요아너 도너 바르트 주한 네덜란드 대사, 알렉산드라 씨들 주한 호주 공관 차석, 사만다 제인 하비 영국 문화원장이 참여하여 교류협력 의향서를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도시 건축 비엔날레란 무엇인가? 올해로 .. 2021. 6. 10.
유상철 영면 2002년 한일 월드컵 4강 신화의 주역이었던 유상철 전 인천 유나이티드 감독이 6월 7일 오후 7시경 췌장암으로 향년 50세에 별세했다는 슬픈 소식이다. 2019년 11월 췌장암 4기 판정 후, 치료에 전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축구의 레전드 일본 언론 '풋볼 존'은 "한국 축구 대표팀에서 오랫동안 활약하고,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알려진 유상철 전 감독이 세상을 떠났다"라고 보도했고, 일본 '스포니치 아넥스'는 "유전 감독은 J리그 요코하마 마리노스, 가시와 레이솔 등에서 뛰었고, 한국 대표팀과 인천 감독을 역임한 한국 축구의 레전드다"라고 전하며 애도를 표했다. 1990년 건국대학교에 입학하여 1994년 울산 현대 호랑이에 입단 후 4 시즌 간 활약하였고 이후 J리그로 진출하여 요코하마 F. 마리.. 2021. 6. 7.
국민의 힘 최근 당대표 선출로 이슈가 되고 있는 [국민의 힘] 당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997년 한나라당을 시작으로 새누리당(2012), 자유 한국당(2017), 미래 통합당(2020)을 거쳐 국민의 힘이라는 당명이 2020년 9월에 변경되어 지금에 이른다. 그간 보수의 대표적인 당으로 욕도 많이 먹고 대구 경북 TK 지역에서만 지지받던 고리타분한 당의 이미지가 강했는데 요즘은 젊은 보수들도 많이 일어나고 있어서 어느 정도 정치색에 균형이 생기는 듯하여 다행이란 생각이 든다. 국민의 힘 당대표 전당대회 최근 경선으로 이준석이 1등을 차지한 초유의 사태가 있었다. 곳곳에서 나이와 경력 혹은 여러 구설수를 이유로 불만이 터져나왔지만 이것이 현시대의 목소리이자 현재 보수를 바라보는 시각의 결과임을 부정할 수는 없을.. 2021. 6. 7.
어깨 관절 연발음 어느 순간부터 등이 아프더니 어깨로 뻐근함이 옮겨졌다. 그러고 나서는 온몸의 관절이나 등, 어깨에서 연발음이 많이 나기 시작했다. 이렇게 까지 우둑우둑 거리지는 않았는데 무슨 목각인형 움직이는 느낌으로 소리가 나는 것. 처음엔 우둑 소리가 나면 개운한 느낌이 들어서 반복하여 관절에 소리를 내게 움직여 보았는데 (손가락 관절 우두둑하면 시원하다 느끼는 것처럼) 알아보니 그렇게 하면 안 되는 거였다. 연발음 연발음이란 것은, 일상생활 중 어깨, 무릎, 손목, 발목 등의 관절을 움직일 때 뚝, 뚝한 소리가 나는 것을 말한다. > 통증이 없는 경우, 관절의 움직임으로 기압이 변하여 발생하는 관절 속 기포가 터지며 나는 소리로 특별한 이상은 없는 것이다. > 통증이 동반할 경우, 퇴행성 관절염, 반월상 연골판 파.. 2021. 6. 6.